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list comprehension
- ceil
- BOJ
- 네이밍
- FOREIGN KEY
- 큰 수 나누기
- 리스트 컴프리헨션
- convention
- SUM
- mysql
- 2557
- timestamp
- itertools
- flask
- 딕셔너리
- SUM()
- 자료구조
- datetime
- 세그먼트 트리
- enumerate
- python
- 외래키
- Codeforces
- Dictionary
- lower_case_table_names
- floor
- project euler
- 파이썬
- 소수
Archives
- Today
- Total
늒네 기록
[BOJ-JS] 1946번 - 신입 사원 본문
1946번: 신입 사원
첫째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1 ≤ T ≤ 20)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 지원자의 숫자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 줄에는 각각의 지원자의 서류심사 성
www.acmicpc.net
처음에 LIS 문제인줄 알았는데 다시 보니 스탈린 정렬 문제였다. 두 성적 중 하나로 먼저 내림차순 정렬한 다음, 남은 성적으로 스탈린 정렬 해버리면 끝난다. 즉, O(n)짜리 그리디 문제.
a=(0+require('fs').readFileSync(0)).split`
`
p=1
while(a[0]--){
b=+a[p]
q=r=0
a.slice(p+1,p+b+1).map(j=>j.split` `.map(e=>b-e)).sort((x,y)=>y[0]-x[0]).map(e=>{if(r<=e[1]){q++;r=e[1]}})
console.log(q)
p+=b+1
}
반응형
'알골 공부 기록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JS] 15904번 - UCPC는 무엇의 약자일까? (0) | 2024.04.22 |
---|---|
[BOJ-JS] 1439번 - 뒤집기 (2) | 2024.04.18 |
[BOJ-JS] 10610번 - 30 (0) | 2024.04.14 |
[BOJ-JS] 13305번 - 주유소 (0) | 2024.04.13 |
[BOJ-JS] 10162번 - 전자레인지 (0) | 2024.04.13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