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Dictionary
- mysql
- lower_case_table_names
- enumerate
- convention
- Codeforces
- SUM()
- itertools
- 딕셔너리
- 파이썬
- project euler
- floor
- SUM
- timestamp
- ceil
- 소수
- flask
- python
- 리스트 컴프리헨션
- 외래키
- 2557
- 큰 수 나누기
- list comprehension
- datetime
- 네이밍
- 세그먼트 트리
- FOREIGN KEY
- BOJ
- 자료구조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73)
늒네 기록
관계 테이블의 이름을 짓는 것에 대해서도 재미있는 글들이 몇 있었다. 예를 들어, 이 링크 에서는 이런 테이블들을 다음의 이름으로 부른다고 설명해주고 있다. Association table Bridge table Cross-reference table Crosswalk Intermediary table Intersection table Join table Junction table Link table Linking table Many-to-many resolver Map table Mapping table Pivot Table Pairing table Relationship table Transition table 그래서 association table을 검색어로 이런 테이블들 네이밍을 어떻게 하는지 검..
테이블 이름을 짓는 것에 대한 논의가 수없이 많다는 걸 검색해보면서 알았다. 예를 들어, 이 링크. 대표적인 이슈들은 다음과 같다. 1. 테이블, 칼럼 이름을 복수형(plural)으로 할 것인가, 단수형(singular)으로 할 것인가? 2. 테이블 이름 대문자? 파스칼 케이스(PascalCase)? 카멜 케이스(camelCase)? 스네이크 케이스(snake_case)? 3. 줄임말 사용? (위에 걸어둔 링크에 나온 예시처럼, Cus_AddRef. What on earth is that? Custodial Addressee Reference? Customer Additional Refund? Custom Address Referral?) 몇몇 자료들을 보면서 내린 결론은, 일단 본인 편한 컨벤션 하나 ..
문제 풀다가 멍청한 실수를 하고선 기록해둔다. 큰 수에 대해서, a//b의 결과와 int(a/b)의 다를 수 있는데, 이때 int(a/b)가 원하는 값을 리턴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stackoverflow.com/a/56470206 링크에서 설명하듯이, - > int(755349677599789174/2) - > 377674838799894592 #wrong answer - > 755349677599789174 //2 - > 377674838799894587 #correct answer 이런 식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할 것. 나중에 시간 되면 문제 발생 이유도 정리하고, 두 계산에 걸리는 시간 비교도 해볼 예정이다.